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Microsoft Windows) 컴퓨터에 로그온 할 때, 특히 원격에서 로그온 할 때, 사용자 로그온 정보 (credential)을 입력하는 포맷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2가지 포맷 (format)이 있는데, 1) User Principal Name 과 2) Down-Level Logon Name이 그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둘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고, 둘의 차이는 포맷외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둘다 사용자 계정과 도메인을 동시에 입력하기 위한 포맷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1. User Principal Name
UserName**@example.microsoft.com과 같은 형태로, 'UserName**'이 사용자 계정 이름 혹은 로그온 이름이고, 뒤의 'example.microsoft.com'이 도메인 이름이다. 둘 사이를 '@'으로 구별하고 있다.
2. Down-Level Logon Name
Domain**\**Username과 같은 형태로 'Domain**'이 도메인 이름이고 '**UserName'이 사용자 계정 이름 혹은 로그온 이름이다. 둘 사이를 '\'가 구분한다. (한글 OS에서는 \로 표시되지만 영문 OS에서는 '\' (backslash)로표시된다.)
자신의 컴퓨터가 회사와 같은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특정 도메인에 묶여 있을 수가 있다. 이런 경우 컴퓨터에 로그온 할때, 자신의 도메인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혹은 다음과 같이 설정>정보를 선택하면 오른쪽 화면에서 도메인과 컴퓨터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개인 컴퓨터라면 도메인에 가입되어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이다. (가입되어 있더라도 컴퓨터의 로컬 계정으로 로그온 하고 싶다면) 컴퓨터 이름 혹은 ip주소를 도메인 이름 대신 사용하면 된다.
참고: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desktop/secauthn/user-name-formats
'마이크로소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사용자 계정 암호 입력 없이 로그인 하기 (0) | 2019.02.09 |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보안 정보 및 보안 코드 (0) | 2019.02.09 |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에 읽을 수 없는 내용이 있습니다." 에러 메세지 (0) | 2018.12.31 |
시작 프로그램에 있는 아이콘을 바탕 화면으로 옮기기 (0) | 2018.12.25 |
Microsoft Visual C++ Runtime Library 에러 해결 (6) | 2018.12.22 |